밝혀지는 아라가야의 역사 1 > 함안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기획 밝혀지는 아라가야의 역사 1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22-10-18 20:03

본문

 밝혀지는 아라가야의 역사 1


아라가야 유적의 조사성과와 의의, 그리고 미래가치


【또 하나의 왕릉을 찾다-남문외고분군 6‧7·15호분 발굴조사】

  

46db6abbf9e72eee084da6c62d2ec795_1666090776_6318.jpg


46db6abbf9e72eee084da6c62d2ec795_1666090894_7838.jpg

함안군 가야사담당 조신규 학예연구사


문외고분군은 말이산고분군에서 북쪽으로 약 800m정도 떨어진 신음천 언덕 위에 위치하고 있다. 


남문외고분군에 대한 기록은 1587년 함주지(咸州誌)에 옛 왕릉으로 처음 나타나며 일제강점기 조사에서 15기의 고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980년대 마산대학 박물관의 지표조사와 창원대학교 박물관의 조사(1990), 아라가야 향토사연구회의 조사(1998)를 통해 24기의 고분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2000년에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는데 고분군의 명칭은 아라가야 추정왕궁지의 남쪽 밖에 있다고 하여 ‘남문외(南門外)’로 명명한 아라가야 향토사연구회의 의견을 따랐다. 


2013년에는 정밀지표조사를 실시하여 47기의 고분을 확인하였고 2014년에는 남문외 11호분 발굴 함안군‧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2017, 『함안 남문외고분군 11호분』을 통해 실제 고분의 규모와 시기를 파악하게 되었다. 


 2018년부터는 남문외 고분군의 국가사적 승격을 위한 발굴이 추진되었다. 


먼저 고분의 가장 중심부에 위치한 6‧7호분과 남쪽에 위치한 15호분이 조사되었다. 


46db6abbf9e72eee084da6c62d2ec795_1666090798_9978.jpg


발굴조사 결과 직경 24.4m, 높이 4m의 봉분을 가진 남문외6호분은 기존의 말이산고분군의 대형고분의 돌덧널 무덤과는 다른 돌방무덤임이 밝혀졌다. 


무덤 내부는 무덤주인이 묻히는 현실(玄室)과 연도(羨道), 묘도(墓道)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봉분의 경계에는 봉분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게 위한 호석(護石)과 제단(祭壇)이 확인되었다. 


남문외6호분에서는 말이산고분군에서와 같이 기반암을 깍아 봉분의 기저부를 만드는 고암반대 공법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말이산고분군을 만든 방법이 그대로 적용된 것으로 고분을 만든 집단이 동일함을 의미한다. 


출토유물을 통해 볼 때 무덤의 시기는 6세기 전반이다. 


 남문외6호분과 인접한 7호분은 6호분에 비해 규모가 작지만 동일한 형태의 돌방무덤으로 역시 6세기 전반에 만들어졌다. 


 6호분에서 남서쪽으로 약350m 떨어진 15호분은 무덤형태에 있어 돌방무덤으로 무덤방 내부를 모두 붉게 채색한 채색(彩色)고분으로 밝혀졌다. 


이는 말이산 13호분에서 발견된 무덤방을 붉게 채색하는 의례(儀禮)행위가 아라가야의 왕릉급 무덤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유사한 채색고분이 발견된 고성의 송학동고분군과 관계가 주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통해 남문외고분군이 만들어진 시기와 순서, 특징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남문외고분군에서는 6세기부터 대형고분이 축조되었으며 지금의 연꽃테마파크가 있는 북쪽에서부터 서남쪽으로 순차적으로 만들어졌다. 


또한 같은 시기 말이산고분군의 돌방무덤 보다 고분의 규모가 크고 정교하게 만들어진 것을 볼 때 6세기 이후 아라가야 최고지배층의 묘역이 말이산고분군에서 남문외고분군으로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즉 남문외고분군은 6세기 무렵 아라가야의 왕릉인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가치를 근거로 남문외고분군은 지난 2021년 7월 29일, 말이산고분군으로 통합지정 되었으며 아라가야의 왕릉은 역사적 완전성을 갖추게 되었다.


【아라가야의 심장을 찾다 – 아라가야 왕궁지(가야리유적) 발굴조사】


 46db6abbf9e72eee084da6c62d2ec795_1666090817_049.jpg
함안군 가야읍 가야리 가야동마을을 둘러싼 구릉에 위치하는 가야리유적은 오래전부터 아라가야의 왕궁지로 알려져 왔다. 


1587년 한강 정구선생이 편찬한 『함주지(咸州誌)』에서는 이곳을 옛나라의 터가 있는‘고국유기(古國遺基)’로 기록하고 있으며 1656년 편찬된 『동국여지지(東國與地誌)』에서는 ‘고국허(古國墟)’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기록에 따라 일제강점기(1917)에는 이 일원을 ‘전왕궁지(傳王宮址)’로 기록하였으며 이후 1995년과 2000년, 2006년 이루어진 함안지역 정밀지표조사 과정에서 왕궁지 존재 가능성이 계속 제기되었다. 


 2018년 4월 초 출장 중 우연히 발견한 가야리유적은 2018년 5월부터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의 발굴조사 가 이루어지게 되었고 현재까지 이어진 조사 결과 약 2.4km에 달하는 유적 전체를 둘러싸는 토성벽(최대높이 8,5m)과 목책렬을 확인되었으며 성벽 내부에서는 5세기 후반에서 6세기의 국내 최대급의 취사시설과 대형 건물터가 확인되었다. 


 유적에 대한 세부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장 핵심이되는 것은 흙을 다져 쌓은 둘레 2.4km에 달하는 성벽이다. 


높이 8.5m, 너비 20m의 대규모 성벽은 나무로 틀을 짜서 흙을 다져쌓는 판축공법을 사용되었으며 그 위에 나무기둥을 열을 지워 세움으로서 성벽의 방어성을 더하였다. 


가야리 유적에서는 판축의 흔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판축을 위한 구조물인 영정주(永定柱)와 횡장목(橫長木)의 흔적이 뚜렷하며 두께 8~12cm의 목봉으로 흙은 다진 흔적도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다.  


 다음으로 성벽 안에서는 국내 최대규모의 대형 취사시설이 확인되었다. 


 대형 취사시설은 길이 11m, 잔존너비 5m의 직사각형의 형태의 건물터로 둘레에 지붕과 관련된 기둥자리들이 돌아가며 건물터 가운데에 길이 6m의 취사시설이 위치해 있다. 


취사시설은 불을 때는 아궁이와 연기가 지나가는 구들, 연기가 빠지는 배연부로 나눠지며 아궁이는 길이 178cm, 너비 172cm정도로 대형이다. 


아궁이에서 연결된 구들은 길이 400cm, 너비 60cm, 높이 40cm로 배연부와 연결된다. 이러한 규모의 취사시설은 국내에서 발견된 취사유적 중 가장 큰 규모라 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조사결과 가야리유적은 신라의 궁성인 월성이나 백제의 궁성인 부소산성보다 큰 규모로 중국 당나라 두우(杜佑)가 편찬한 통전(通典, 801)의 기록을 토대로 가야리 유적의 성벽을 쌓는데 16만 명 이상이 소요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당시 아라가야의 국력을 짐작할 수 있다. 


더욱이 2008년과 2011년에 연꽃테마파크 조성사업 과정에서 조사된 가야리 제방유적이 성벽의 진행방향과 일치하고 있다는 점은 가야리유적의 범위가 더욱 확대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함안뉴스 (hamannews@naver.com)
저작권자(c) 함안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획

함안뉴스 목록
게시물 검색


  • (주)함안뉴스   등록번호:경남 다 0137   대표이사 발행인:조용찬   편집인 편집국장:손성경
  • 주소:경남 함안군 가야읍 중앙남3길 30   전화:055-584-0033~4   팩스:055-584-0035   이메일:hamannews@naver.com
  • 함안뉴스의 모든 콘텐츠를 무단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Copyright by hamannews.kr